
SIMULACRE
시뮬라크르의 공간적 사유와 전시
소비사회의 배경인 시뮬라크르 현상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고, 공간을 전시하는 전시공간으로 이용자의 시뮬라크르에 대한 간접적 경험과 명상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뮬라크르의 배경이 되는 <소비사회>, 산업화 등 이와 결부되는 대지인 서울숲의 구 삼표 레미콘 공장 부지를 대지로 선정하고, 서울의 산업화에 대해 레미콘 공장의 내부 공간을 통해 경험하게 하는 공간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외관을 중시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내면을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시뮬라크르 공간적 사유와 더불어 positive space(외관, facade), negative space(내부)를 구분하고 공간의 이미지를 전시하기 위해 내부 공간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공간의 흔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원본없는 복제본, '원본을 능가 하는 복제'의 키워드를 가진 시뮬라크르 현상은 산업혁명을 계기로 개념이 발전되었다. 시뮬라크르 복제 과정을 적용해서 기존의 삼표 레미콘 공장의 공간들을 재생시킨다. 복제 과정은 단순 건물을 복사하는 것이 아닌, 외관이 중시되는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내면의 중요성과 공간의 흔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Negative space가 나타나도록 복제한다.
또한 일련의 복제 과정들을 하나의 제안된 동선 안에서 간접적으로 느껴지도록 하고, 동선을 하나로 묶어주면서 삼표 레미콘의 역사에 대해 보여줄 수 있는 전시관을 배치하고 최종공간인 simulacre apse에서는 부지 오브제와 복제된 공간들이 중첩되어 삭제시켜, 내부 공간에서 반전된 negative space를 보여주어 기존 공장의 흔적, 내부 공간의 느낌을 경험하게 하고 이는 곧 삼표 레미콘 공장의 공간 전시관 또는 명상 공간이 된다.

